Dev-Diary
-
[자동화] 소스 코드에서 특정 행 가져와서 README에 추가하기Dev-Diary 2023. 5. 30. 16:35
☑️ 개요 이전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shell script를 이용해서 하나의 스크립트 파일로 순차적인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음을 경험했고, 만족도가 무척 높았다. 더 복잡한 작업을 자동화해보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미 반복 작업을 하면서 불편함을 느끼던 것이 있었기에 큰 고민없이 만들 수 있었다. 나는 코딩 테스트를 풀고 지금까지 해결한 문제를 Git에 커밋하고, 어떤 문제를 풀었는지 한 눈에 확인하기 위해 정보를 명시하는 README 파일을 작성하고 있었다. 문제의 출처, 레벨, 사용 알고리즘, 링크를 포함하여 표로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하지만 위의 README 또한 TIL 처럼 이전 행을 복사하고 새로운 정보를 사이에 붙여넣기 하는 방식으로 작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른 문제로는 소스 코..
-
[자동화] 매일 커밋하는 TIL 파일, 매번 생성하기 귀찮다면Dev-Diary 2023. 5. 15. 15:32
#crontab #zsh ☑️ 개요 작년부터 나의 오랜 친구가 개발을 배우기 시작했다. 나는 백엔드 친구는 프론트엔드로, 내가 생각하지 못한 관점에 대해서 가까이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우리의 취준기간이 겹치면서 매일 감시 아닌 감시를 하며 공부를 하다가, 매일 TIL을 작성하기로 했다. 공용 레포에 각자의 폴더에 매일 그 날 공부한 내용을 커밋하기로 규칙을 정하였다. 매일 공부한 내용을 복습하면서 간략하게 정리도 할 수 있고 좋은 기록이 될 것 같았다. 깃에서도 바로 볼 수 있도록 파일 형식은 마크다운, 파일명은 날짜로 통일했다. 내용은 자유여서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하고 있다. 내용 첫 줄에는 날짜와 요일, 아래에는 하루를 복기하면서 TIL을 작성한다. 전 날 생성한 파일을 복사+붙여넣기해서 파일..
-
[TIL] Jenkins를 이용한 빌드 중 만난 오류Dev-Diary 2020. 7. 21. 21:15
오늘 업무 중 만난 오류에 대해 정리해본다. 1. 플러그인 삭제 대기 Jenkins > plugin Manager에서 기존의 플러그인을 삭제하면 제거되지 않고, 설치된 플러그인 목록에서 삭제대기로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실서버에 원격으로 붙어있는 상태였고 서버PC를 다시 재시작할 상황이되지 않았다. 나처럼 재시작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PC를 굳이 끄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하면 될 것 같다. 서비스를 실행하고 우클릭하여 다시 시작(혹은 중지 후 시작을 선택)한다. 다시 jenkins를 시작하면 해당 플러그인은 설치된 플러그인에서 삭제되고, 설치가능한 플러그인 목록으로 돌아간다. 말도 안되게 쉽지만 생각보다 검색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 듯! (나처럼!) 2. SSLHandShake caus..
-
Message Queue (메시지 큐)Dev-Diary 2020. 5. 20. 16:53
* 메시징 - 장점 1. 이기종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할 때 주로 사용 메시징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플랫폼으로 구현된 시스템끼리 통신이 가능 2. 비동기적 메시지를 사용함으로써, 수신자가 메시지를 받아서 처리할 때까지 송신자가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메시징 시스템은 메시지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지 않고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를 교환한다. 따라서 생산자와 소비자의 결합성이 낮으므로 확장성이 높고 유연한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이 때, 메시지 발신자와 수신자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 사이의 목적지라는 가상채널을 통하여 메시지를 교환한다. 해당 목적지를 구독한 클라이언트가 메시지를 받는다. 메시징 클라이언트(발신자)-> 메시지 브로커 -> 메시징 클라이언트(수신자) 메시지 브로커에서 관심..